☆ 09/06/06. 특별산행 보고-성문편- ☆

조회 수 3608 추천 수 0 2009.06.09 02:28:36

                         ☆ 특 별 산 행 보 고 ☆
                                                                                   - 성   문 -

                                                                          열정으로 더워진 피..
                                                                        거칠게 내쉬는 숨소리..
                                                                                     그리고
                                                                   두볼로 흘러내리는 땀까지.....
                                                                                사랑합니다.
                                                                 함께하여 주신 8명의 선후배님.!!

- 출발을 준비하는 동문들의 여유로운 모습 -


- 첫번째 성문인 大西門 -
※ 의상봉 서북쪽 해발 150m 높이의 낮은 구릉지대에 위치한 성문으로 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 4개
     방위중  서쪽을 대표하는 성문인 동시에 북한산성의 정문으로, 문루는 1958년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최
     헌길의 주도로 복원됐다.
     * 門樓란 성문위에 지은 다락집으로 유사시 장수의 지휘소가 되며, 성밖의 적을 조기에 발견하고자 감
     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 두번째 성문인 中城門 -



※원효봉과 의상봉을 직선으로 그은 중간지점에 해당하는 현재 산성주차장에서 산성안 중심부에 위치한
    중흥동계곡을 오르는 중간지대 길목에 위치하였으며, 문루는 1998년에 복원되었다.

- 세번째 성문인 袈娑堂暗門 -
※ 의상봉과 용출봉 사이 산능선 해발 448m에 위치한 암문으로, 부근 성문안에 국녕사가 있다 하여 "國
     寧門" 또는 "國靈寺暗門"으로 불리었다.
     원래 가사당암문은 현재 청수동암문으로 예전에 그 일대의 산봉이 가사봉으로 불리었다.
     * 暗門이란 노출을 꺼리는 출입통로로 출입문 위에 문루를 세우지 않고 눈에 띄지 않게 몰래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든 문으로 성안에 필요한 병기 및 식량들을 운반하고 적에게 포위 당했을 때 비밀리에 구
    원을 요청하거나 적을 역습할 때 이용한다. 현재 북한산성에는 7개의 암문이 있다.

- 네번째 성문인 扶旺洞暗門 -

※ 나월봉과 증취봉 사이 산능선 해발 521m지점에 위치한 성문으로 북한산성 7개 암문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정식 홍예(홍예)는 아니지만 위쪽 성 돌을 둥굴게 파서 홍예문처럼 만든 아름다운 성문이다.
    최근까지 성문 우측에 "小南門"이라는 현판이 붙어 있어 처음에는 소남문이였다 사료되며 근처에 원
    각사가 잇어 "원각사암문", 그리고 부왕동암문이란 이름은 성안 동쪽에 있는 부왕사로 내려가는 계곡
    일대를 부왕동이라 불러 붙여진 이름이다.
    * 虹霓란 성문 얼굴의 윗머리가 무지개같이 반원형이 되게 만든 구조물 또는 그러한 구조로 만든 문,
    즉 홍예문을 말한다.

- 다섯번째 성문인 靑水洞暗門 -


※ 문수봉과 가사봉 사이에 위치한 성문으로 해발 694m에 지점에 위치하였으며, 산성주능선과 비봉능선,
     그리고 의상능선의 갈림길이다.

- 여섯번째 성문인 大南門 -



※ 문수봉(727m)과 보현봉(715m) 사이 해발 663m 능선 한 가운데 안부에 위치한 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
     남북 4개 방위중 남쪽을 대표하는 성문으로, 축조 당시에는 "文殊峯暗門"으로 불렸던 성문으로 암문이
     었다.
 

- 일곱번째 성문인 大城門 -

※ 보현봉 동북쪽으로 이어지는 산성 능선 해발 625m지점에 위치한 성문으로 북한산성 성문 가운데 가
     장 큰문이다.
    원래 처음에는 "小東門"으로 불리던 암문이였으나 성문 위치가 문 북쪽 가슭에 행궁이 자리하고 있어
    이곳을 통과하여 형제봉과 輔토峴(현재 북악터널 위쪽)을 거쳐 경복궁으로 이어지는 길에 위치하고 있
    어 임금이 이 문을 출입하게 됨에 따라 성문을 성대하게 개축하여 이름도 대성문으로 바뀌었다.
    * 行宮이란 임금이 국도의 왕궁밖에서 머물던 별궁으로 북한산성내 행궁은 산성을 축조하던 숙종 37년
    (1711년)에 지어졌다.

- 여덟번째 성문인 補國門 -
※ 원래 이름은 "東暗門"으로 대동문과 대성문 사이의 해발 567m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아랫쪽에 보국
     사가 있었다고 하여 지금은 보국문으로 불리운다.

- 아홉번째 성문인 大東門 -
※ 북한산성의 성문 중 동서남북 4개의 방위중 동쪽을 대표하고 있는 성문으로 우이동 진달래능선이 끝
     나는 해발 540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금의 문은 1993년 문루를 갖춰 복원되었다.

- 장군의 지휘소였던 동장대 -


- 열번째 성문인 龍岩門 -
※ 원래의 이름은 "용암봉암문'으로 무인대피소인 지금의 북한산성대피소 부근의 용암봉 가슭 해발
     580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이 일대의 수비를 담당하던 용암사가 있었다 한다.

- 열한번째 성문인 衛門 -
※ 원래 이름은 "白雲峯暗門"으로 백운대와 만경대 사이의 안부에 위치하고 잇으며, 북한산성의 성문 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성문으로 지금의 이름인 위문은 일제 때부터 불리어 왓다고 한다.

- 열두번째 성문인 北門 -
※ 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 4개 방위중 북쪽을 대표하는 성문으로 원효봉과 염초봉(옛이름 영취봉) 사
     이의 해발 430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금은 문루가 유실된 상태로 남아있다.
     동서남북 4개의 문 중 북문만 유일하게 "大"자를 앞에 붙이지 않는 이유는 원래 북쪽 방위를 홀대했
     기 때문이다.

- 열세번째 성문인 屍軀門 -
※ 정확한 본래 이름은 "西暗門"으로 대서문 북쪽 수문에서 원효봉으로 이르는 해발 180m 기슭에 위치
     하고 잇으며, 산성에서 죽은 사람은 이 문을 통해 내보낸다 하여 주민들이 시구문이라 붙인게 원래 성
     문 이름임 서암문을 대신하여 고착화되어 현재도 성문에 "시구문"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다.
     하지만 보통 "시구문 밖"이라 할 때는 서울 중구 광희동에 있는 "光熙門"을 말한다.

열네번째 성문인 수문(문수문)은
    대서문 북서쪽 근처 산성계곡에 위치하여 폭50척(15.5m), 높이 16척(5m) 규모의 큰 수문이었으나 1925년 을축년대홍수로 완전히 유실되어 마음속으로만 그리며 숙제로 남겨두고 하산하였습니다.

* 성곽의 배수를 위한 시설로 규모가 크고 문의 형식을 갖추면 "水門"이라 하고, 규모가 작은 것은 "水口"라 한다.

산행시간 8시간 30분에 산행도상거리 약 15Km, 실제산행거리 약 18Km를 끝난 후 마시는 시원한 맥주 한잔!!




                                                           한사람의 낙오자 없이 끝까지 종주하여 주신 
          윤익상(19)선배님, 김만경, 윤병팔(이상 24), 박상복, 최규학, 이양기(이상 26), 안정헌(27)후배님
                                                                                            그리고
                              박상복후배님의 거래처 동생으로 찍사로 대활약 해주신 이성구사장님에게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언제나 행복하소서~~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비룡산악회 회칙 (재공지) file 박세무 2022-09-07 286
456 비룡산악회 광주 무등산 원정산행 file [4] 비오10 리 2013-10-27 1663
455 ▲ 제69차 비룡산악회 정기산행 안내 ▲ file [6] 유산자 2014-01-10 1665
454 대공원둘레길 연합산행결과 [2] 설영형 2014-06-29 1668
453 2014년 1월 25일 69차 정기산행(북한산 둘레길) 결과보고 [5] 유리비 2014-01-26 1695
452 비룡산악회 호명산 등산결과 [6] 설영형 2013-06-24 1712
451 비룡산악회 북한산 등산결과 [4] 설영형 2013-11-25 1713
450 2014년 3월 22일 71차 정기산행(관악산 관음사 시산제) 결과보고 [2] 유리비 2014-03-25 1717
449 ▲ 제71차 비룡산악회 정기산행(시산제) 안내▲ file [2] 유산자 2014-03-09 1727
448 3월1일 강원도 오대산 비룡특별산행 file [4] 비오10 리 2014-03-02 1739
447 강화도 마니산 특별종주 file [3] 비오리10 2013-10-09 1741
446 2014년6월 28일 74차 정기산행(대공원 산림욕장 둘레길) 결과보고 [9] 유리비 2014-06-30 1748
445 2020년 10월 24일 150차 정기산행(북한산) 결과보고 file 유리비 2020-10-25 1749
444 비룡산악회 수락산 등산결과 [1] 설영형 2014-07-27 1757
443 비룡산악회 굴봉산등산결과 [4] 설영형 2013-09-29 1764
442 비룡산악회 무등산 원정산행결과 [4] 설영형 2013-10-27 1773
441 북한산 둘레길 등산결과 [2] 설영형 2014-01-26 1776
440 새해 2013년에는 더욱 발전하시길 기원합니다.(고27회 김성완 배상) 김성완 2012-12-31 1777
439 비룡 북한산계곡 특별산행-7월6일 file [3] 비오리10 2013-07-07 1802
438 비룡산악회 호명산 정기산행 file [5] 비오리10 2013-06-23 1818
437 2014년 5월 24일 73차 정기산행(설악산 흘림골) 결과보고 [5] 유리비 2014-05-25 1837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서소문로27(충정로3가, 충정리시온)202호 | 전화번호: 02-365-0516 | 팩스번호: 02-365-0140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총무이사 설정원 | 이메일 주소 무단수집거부